SUNGDO NEWS

현재 위치


책읽는 즐거움

[] 마시멜로 이야기( Don’t eat the Marshmallow … Yet!) > 김상래
2006/06/26 37809

06년 06월 < 마시멜로 이야기( Don’t eat the Marshmallow … Yet!) >
저자 :
출판사 :
마시멜로 이야기( Don’t eat the Marshmallow … Yet!)

호아킴 데 포사다, 엘렌 싱어 지음
김상래 대표이사

처음엔 마시멜로가 무엇이지? 이 책의 주제는 무엇일까? 하고 책 표지만 가지고는 즉각 알지 못하였지만 아주 중요한 성공의 교훈을 조나단이라는 회사 사장과 그 운전 기사인 찰리와의 대담을 통하여 쉽고도 명쾌하게 가르침을 주고 있다. 왜 어떤 사람은 성공 하는데 왜 어떤 사람은 실패하는가? 필자는 30년 동안 동기부여 전문가로 활동하면서 올림픽 대표 선수들에게도 많은 강의를 하면서 생긴 질문은 분명히 타고난 재능과 능력은 출중한데도 실패한 선수가 많고 능력은 부족하지만 딛고 일어서 성공한 선수도 많다는 것을 보고 무엇이 이런 차이를 만들었는가에 대한 고민을 하던 중 마시멜로 이야기를 접했다 한다.

마시멜로는 미국아이들이 좋아하는 달콤한 캔디이다. 달콤하고 은은한 향기 그리고 예쁜 유리병을 보면 저절로 입에서 침이 돌고 먹고 싶은 유혹이 대단하다 한다. 아이들에게 15분 동안 마시멜로를 먹지 않고 기다리면 또 하나의 마시멜로를 준다 하는 실험을 하였는데 대부분의 아이들이 15분의 유혹을 참지 못하였는데 아이들의 10년 성장을 상호 비교한 연구 결과는 그 15분을 참았던 아이들이 훨씬 더 성공가도를 달리고 있었다고 한다. 마시멜로는 이 책에서는 눈앞에 있는 달콤한 유혹이다. 겨우 15분 이었지만 눈앞의 마시멜로 보다는 한 순간의 유혹을 참고 기다렸던 아이들이 성공적인 인생을 만들어 가고 있는다는 사실!

마시멜로를 곧바로 먹어치우지 마라! 더 큰 만족과 보상을 위하여 당장의 유혹을 끈기 있게 이겨나가는 매일 매일의 실천. 가장 유혹에 굴복하기 쉽고 강렬한 매혹에 빠져 들수 있는 시절에 마시멜로를 먹지 않고 꾹 참고 있는 젊은 시절의 경험. 당장 눈앞의 욕구보다 더 많은 것을 성취하기 위하여 자신의 가장 눈부신 시절을 기꺼이 견딘 사람이 바로 청춘을 가장 성공적으로 보낸 사람이 아니겠는가? 라고 강조한다.

결심과 실천은 다르다. 아는 것이 힘이 아니라 아는 것을 실천할 때 비로서 힘이 된다. 차이를 만드는 것은 바로 실천이다. 보험회사의 영업사원의 경우 실적을 올리기 급급한 나머지 자신의 가족, 친척, 친구, 선후배등 인맥을 최대한 동원해 계약을 따내지만 아는 사람들이 다 떨어지고 나면 회사를 그만두는 경우도 많다. 힘이 들더라도 더 중요한 고객을 처음으로부터 악착같이 찾아 나서야 한다.
자신의 인생에서 궁극적으로 이루려는 목표를 명확히 하고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고 이를 행동으로 옮기는 것. 눈앞의 마시멜로 즉 유혹을 먹어치우지 않으면서 스스로 변화하기 위하여 무엇이 필요한가를 자문하고 결정을 실천하는 것이 눈부신 유혹을 이기면 눈부신 성공을 맞이한다는 교훈을 주고, 미래에 성공의 마시멜로를 먹을 수 있기 위해서는 오늘 철처히 준비하여야 한다는 쉽지만 중요한 지침을 다시 강조한다. 목표에 더욱 집중하고 분발 할수록 목표 달성에 대한 스트레스가 줄어 든다는 것, 즉 목적 + 열정 = 마음의 평화 이고 의욕을 잃었다고 생각할 때 한가지 마음에 새겨두어야 할 것은 ‘너 자신을 믿어라’ .

마지막으로 필요한 것은 ‘끈기. 탁월한 세일스맨인 해리 콜린스에게 누군가 물었다.
‘ 당신도 고객에게 거절 당 할 때가 있죠?” “ 당연히 있죠. 아주 많습니다”
“ 당신이 전화를 했을 때 상대방이 거절하면 당신은 몇 번 만에 포기하나요?”
콜린스의 답 “ 우리 둘 중 한 사람이 먼저 죽기 전에는 포기하는 법이 없습니다.”

자신의 더 큰 목표를 위해, 그것이 한 결레의 구두이건 회사의 승진이건 사업의 성공이건 내 수중에 있는 지금의 마시멜로의 유혹에 지배 당하지 않으며 위의 교훈을 실천하면 미래에 성공의 마시멜로가 태양처럼 떠오를 것이다 라고 결론을 맺는다.

우리가 학창생활, 사회생활을 하면서 눈앞의 유혹에 굴복하여 목표한 성공을 놓치고 좌절하고 자신의 빈약한 의지를 통탄한 경험은 누구에게나 있을 것이다. 어려운 실천과 끈기를 수반하지 않고 목표를 쉽게 만들고 하루하루를 육체적 안이함에 몰입을 하고도 자기 합리화와 그럴 수 밖에 없었다 하는 변명을 한 적이 수도 없지 않았나 한다. 이제 더욱 자신과 사회에 책임을 져야 하는 나이에 마시멜로 이야기를 통해 실패하지 않는 심약한 태도가 아니라 나와 조직과 주변을 성공시키기 위한 성공 원칙으로 마시멜로 이야기를 마음에 간직한다.
삼한지
새로운 미래가 온다. (A Whole New Mind.)